오행은 목화토금수(木火土金水)의 기호로 나타내며 그 기호는 각 물질의 성질을 나타낸다. 각 오행의 성질을 풀이해 보자.
목(木), 나무는 성장하고 위로 곧게 뻗어나간다. 큰 나무도 있지만 작은 초목도 여기에 속한다. 크고 단단한 것은 양으로, 작고 부드러운 것은 음으로 본다. 그래서 천간에는 양의 성질을 가진 갑목(甲木, 큰 나무)과 음의 성질을 가진 을목(乙木, 풀이나 관목)이 있다. 크나 작으나 처음에 새로 시작하고 성장하는 성질을 갖고 있다. 강한 의지력, 미래지향성, 창의성, 의욕 등의 성질과 제조, 건설, 출판 등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는 일도 나무의 에너지로 표현할 수 있다. 그외에 측은지심, 인(仁), 친근감, 편안함과... 방향은 동쪽이다. 왜 그럴까? 시작하는 기운이라 해가 뜨는 쪽을 그렇게 정한 게 아닌가 싶다. 동대문의 원래 이름인 흥인지문興仁之門을 보면 이 오행의 성질을 넣어 이름을 붙인 것을 알 수 있다. 한의학에서 말하는 오장육부도 오행으로 표현한다. 신체 기관 중 간과 담이 나무의 기운에 해당한다.
화토금수도 각각 아래와 같은 특성이 있다. 글로 표현하기가 너무 많고 가독성이 떨어져 표로 정리해 보았다.
호신샘 강의 교재, 강헌 선생의 [명리], 한의사 오철의 [동의보감으로 말하다], 이성환, 김기현 공저 [주역의 과학과 道]를 함께 읽으며 참고해 정리했다. 내용이 너무 많아 현재 내 수준으로 명리학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에게 설명하면 이렇게 하겠다는 기준으로 몇 가지만 추렸다.
오행/에너지(기운) | 목木 | 화火 | 토土 | 금金 | 수水 |
물상/사물의 모습 | 큰나무, 초목 | 태양, 빛, 달, 촛불 | 큰산, 대륙, 논, 밭 | 금속, 바위, 보석 | 강물, 저수지, 빗물 |
성질 | 시작, 생명, 태동, 진취, 의욕 | 성장, 표현, 확산, 드러남, 전성기 | 성숙, 완숙, 화합, 조절, | 수렴, 결실, 수확, 결과, 단호 | 응축, 압축, 저장, 충전, 휴식 |
방향, 오상(五常) | 동, 仁 - 흥인지문 | 남, 禮 - 숭례문 | 중앙, 信 - 보신각 | 서, 義 - 돈의문 | 북, 智 - 홍지문 |
인생 시기 | 유년기 | 청년기 | 장년기 | 중년기 | 말년기 |
계절, 때 | 봄 | 여름 | 환절기/간절기 | 가을 | 겨울 |
감정 | 怒, 노여움 | 喜, 기쁨 | 思, 생각, 고민 | 悲, 슬픔 | 恐, 두려움 |
숫자 | 3, 8 | 2, 7 | 5, 10 | 4, 9 | 1, 6 |
색깔 | 청 | 적 | 황 | 백 | 흑 |
국가, 지역 | 한국, 일본, 영동, 영서 |
적도 지역 경상도 |
중국 충청도 |
유럽, 미국 태안 이하, 전라도 |
북쪽 지역 함경도 |
신체 기관, 부위 | 간, 담, 눈, 왼손 | 심장, 소장, 혀, 오른손 |
비장, 위장, 입, 머리 |
폐, 골겨, 코, 오른발 |
신장, 방광, 생식기, 귀, 왼발 |
성격 | 강한 의지력, 미래지향적, 창조적, 의욕, 순수, 호기심 | 활동적, 분주, 인기, 밝게 드러남 | 중용, 중간자, 화합, 조절, 감리, 감독, 중개, 교환, 묻다, 감춘다. | 분별, 심판, 확정, 구분, 분류, 끊어냄. 실리, 현실, 결과 중시, 합리성 (부정적 - 차별, 낙인) |
정적, 인내, 비밀, 야망, 야심, 신중, 엉큼, 소유 |
진로 | 교육, 창의, 제조, 건설, 출판 | 언론, 연예, 방송, 홍보, | 건축, 부동산 | 금융, 운동선수, 경찰, 검찰 | 종교, 수행 |
'명리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대운(大運)과 세운(歲運) (1) | 2024.01.07 |
---|---|
명리학과 몬테소리 - 길을 안내한다는 공통점 (2) | 2023.10.13 |
명리학을 공부하게 된 이유 (0) | 2023.08.05 |
명리학 기본 용어 - 오행(五行), 상생상극(相生相剋) (0) | 2023.08.03 |
명리학 기본 용어 - 음양 (0) | 2023.07.27 |